Kubernetes

22.07.27

가로선 2022. 7. 28. 14:51

 

   목차   

 

1. ReplicaSet 생성(yaml 파일)

 - 파일 수정 시에 ReplicaSet 변경 확인

2. Wordpress 연동 및 ReplicaSet 변동 확인


 

   ReplicaSet 생성   

 - 정의 파일인 manifest 파일 생성

 

manifest file 생성

    - 생성한 컨테이너를 템플릿으로 정의

    - 정의한 템플릿을 replicaset으로 가져다 쓰는 것

        - selector 쪽과 template 쪽의 label이름은 같아야 한다

            - AWS때 배운 Auto Scaling 생성과 비슷하다고 생각하자!

 

apply를 통해 yaml 파일을 통한 replicaset 생성

 

생성된 Pod 확인

    - yaml 파일 작성 시, replicaset을 2개로 지정하여 2개가 생성된 것

 

get pod와 replicaset으로 생성 확인

 

   파일 수정 시에 ReplicaSet 변경 확인   

 

replicas를 2에서 3으로 수정

 

pod가 새로 생성되어 총3개가 된 것을 확인

 

Pod를 랜덤으로 1개 삭제 진행

    - 삭제 후, replicas를 5로 변경하고 적용

 

Replicas가 5가 되어 총 5개의 pod가 생성된 것을 확인

    - 확인 후, replicas를 다시 2로 변경 후 적용

 

pod가 총 2개가 된 것을 확인

 

 

   Wordpress 연동 및 ReplicaSet 변동 확인   

 

하나의 manifest 파일에 컨테이너 2개 생성

    - mysql, wordpress 2개의 컨테이너를 동시에 생성

 

Pod 생성 확인

 

describe를 통해 1번째 Pod의 IP 확인

 

describe를 통해 2번째 Pod의 IP 확인

 

sed 명령어로 wordpress 환경 변수 수정

 

외부 접속을 위해 expose

 

wordpress 연동 확인

 

replicas를 4로 변경하여 Pod가 총 4개가 된 것을 확인

 

replicas를 2로 변경하여 Pod가 총 2개가 된 것을 확인

'Kubernetes' 카테고리의 다른 글

22.07.28  (0) 2022.07.28
22.07.26  (0) 2022.07.28
22.07.25  (0) 2022.07.26
22.07.01  (0) 2022.07.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