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버구성(Linux, Windows)

22.03.24

가로선 2022. 3. 24. 21:04

 

   목차   

 

1. 메인 서비스 페이지 이미지 추가

2. 가상호스팅 분류

3. NFS

4. 세팅연습

 

 

   이미지 추가   

 

HOST PC에서 사진 다운후 SSH를 활용하여 이미지를 복사한다

 

1.jpg가 잘 옮겨진 것 확인

 

/var/www/html/index.html 수정

 

메인페이지 서비스화면에 출력된 것 확인

 

   가상호스팅 분류   

 - 어제의 포스팅에서는 가상호스팅 설정을 httpd.conf에 설정을 했었다

 - 하지만 설정은 분리하는 것이 좋다

    - 나중에 다른데서 가져가기도 편함

 

virtual.conf 파일을 생성

    - WEB 서버 주 설정 파일에 포함된 하위 설정 파일 생성

 

CentOS7-1 가상호스팅 설정

    - 어제 세팅문제에 주어진대로 virutal.conf에 분리하여 생성

    - 메인페이지도 반드시 가상호스팅해줘야 출력이 된다!

 

CentOS7-2 가상호스팅 설정

 

CentOS7-3 가상호스팅 설정

 

 

   NFS(Network File System)   

 - 파일 시스템 공유 기능

 - yum install -y nfs-utils로 설치

 

   NFS 서버 설정   

 

NFS를 설정할 디렉터리 생성

 

/etc/exports에서 nfs 설정
10.0.0.0 대역에 대해 NFS 설정 및 옵션 추가

    - rw : 읽기, 쓰기 허용

    - no_root_squash : 클라이언트가 root 권한 획득가능

        - 접속하는 애들 모두 root 권한을 갖게 된다

    - sync : 변경 사항이 커밋된 후에만 요청에 응답(안정적인 저장)

    - anonoymous에 대한 uid, gid 설정

 

설정 후 시스템 재부팅하여 설정값을 적용한 후, 확인

    - exportfs -v옵션을 통해 확인

 

port로 방화벽을 열기에는 port수가 많아 서비스로 열어주는 것이 더 편리

 

   NFS 클라이언트 생성 - Linux   

 

마운트 할 디렉터리 생성

 

mount 진행

    - -t 옵션은 파일시스템 타입을 선택할 때 사용한다

 

마운트된 것 확인

 

   NFS 클라이언트 생성 - Windows   

제어판 - 프로그램 및 기능

 

Windows에서 NFS를 사용하기 위해 기능을 켠다

    - 최근 NFS를 Windows에서도 서비스하여 굉장히 편해졌다

 

Client PC에서 mount

    - Windows에서는 드라이브명을 적어준다

 

nfs 드라이브가 생긴 것 확인

 

파일 생성을 위해 권한 추가

 

admin이라는 파일 생성

 

메인 NFS 서버인 CentOS7-1에서도 확인이 가능

 

연결을 끊을 때는 umount 사용

 

리눅스에서도 umount로 연결을 끊으면 된다

 

 

   세팅 연습   

 

세팅 연습을 위해 CentOS7-4도 사용

 

   CentOS7-1 설정   

 

FTP 설정 후 확인

 

보조 DNS 설정

 

WEB 서버 가상호스팅 설정

 

intra 페이지를 a, b 사용자만 사용하게 하기 위해 설정

    - .htaccess 파일 설정

 

방화벽 개방 포트 확인

 

   CentOS7-2 설정   

 

주 DNS 정방향 레코드 파일 설정

 

주 DNS 역방향 레코드 파일 설정

 

HOST PC의 SSH를 활용하여 CentOS7-2로 2.jpg 복사

 

2.jpg가 복사된것 확인

 

CentOS7-2의 메인 서버페이지에 이미지 삽입

 

가상호스팅 설정

 

방화벽 개방 포트 확인

 

NFS 클라이언트이므로, NFS를 마운트해서 사용

 

   CentOS7-3 설정   

 

DHCP 할당 확인

 

DHCP 할당 확인

 

보조 DNS 설정

 

가상호스트 설정

 

NFS 클라이언트 설정

 

방화벽 개방 포트 확인

 

   CentOS7-4 설정   

 

보조 DNS 설정

 

가상호스트 설정

 

방화벽 개방 포트 및 NFS 서버이므로 service로 개방

    - 포트로도 개방이 가능하지만, 너무 많다

 

/etc/exports에서 NFS 설정 후, exportfs v옵션으로 확인

 

파일을 생성하기 위해 권한 부여

 

W11-1에서 NFS 테스트를 위해 NFS-TEST 파일 생성

 

NFS 서버인 CentOS7-4에서 확인

 

   테스트   

 

nslookup으로 DNS 확인

 

W10-1 메인 페이지 확인

 

W10-1 블로그 페이지 확인

 

W10-1 인트라 페이지 확인

    - a, b를 제외하고는 액세스가 불가능

 

W11-1 메인 페이지 확인

    - 이미지 들어간 것도 확인

 

W11-1 블로그 페이지 확인

    - W11-1의 IP를 제한하여 블로그 페이지 접속이 불가능

 

W11-1 인트라 페이지 확인

 

'서버구성(Linux, Windows)' 카테고리의 다른 글

22.03.29  (0) 2022.03.29
22.03.28  (0) 2022.03.28
22.03.23  (0) 2022.03.23
22.03.22  (0) 2022.03.22
22.03.21  (0) 2022.03.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