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2.03.31
목차
1. 간단한 필기
2. 세팅연습
- WEB 서버
- MAIL 서버
- CIFS
3. 웹 사이트 관련 설정
- 실제 디렉터리
- 가상 디렉터리
- HTTP 리디렉션
- IP 주소 및 도메인 제한
필기 내용
윈도우 서버 사용 이유
- 액티브 디렉터리를 통한 인증
- 그룹 정책을 통한 관리
세팅 연습
- 어제 포스팅에 이어 진행할꼐요!
설계
W12K19-AD 세팅
WEB-MAIN 서버
- 실제 경로에 루트 디렉터리 경로 추가
- 새로 추가한 것은 바로 최상단에 올라가진다
- 모든 윈도우 서버에 똑같이 추가해준다
테스트
- 알다시피 도메인 이름으로 접속은 3개중 랜덤으로 나온다!
WEB-BLOG 설정
- 콘텐츠 디렉터리의 경로 설정
- 가상 호스트 설정을 여기서 바로 진행이 가능
- 여기서 하지 않으면 IIS 관리자에서 바인딩 편집도 가능
CIFS
- 예전에 공유폴더 많이했으므로 다시 기억되살려보자!
- 공유는 네트워크 접근을 위해 열어주는 것이기 때문에 Everyone에 모든 권한 부여
- a 사용자에 대해 읽기 권한 부여
- a 사용자나 관리자를 제외하고는 접근이 불가
- a 사용자는 NTFS 설정 때 읽기 권한만 줬으므로, 쓰기 불가능
W12K19-MEM1 세팅
WEB-BLOG, INTRA 설정
INTRA 사이트 인증 추가
- 기본 인증을 사용으로 변경하고, 익명 인증은 사용 안함으로 변경
- 기본인증은 평문이고 Windows 인증은 그나마 보안이 조금 된다
- 평문 사용함으로 지정하여, 우측 상단에 경고 메세지가 뜨는 것!
- 사용자가 생성되면 자동적으로 Users 그룹에 등록되기 때문에 따로 안해도 비번물어보게 되는 것
테스트
W12K19-MEM2 세팅
WEB-INTRA 설정
INTRA 사이트 인증 추가
Mail 서버 설정
hMailServer 다운로드
- Server : SMTP, POP3의 기능을 사용
- Administrative tools : 메일 서버를 관리하는 GUI 툴
- 보통 둘을 나눠 설치하는 것이 좋지만, 쉽게 하기위해 한 곳에 설치 진행
- hMailServer 설치시, .NET Framework 3.5가 필요한데 hMailServer 마법사에서
설치시 오래걸리게 되므로 서버 관리자에서 설치해주는게 더 효율적이다
- 설치 진행하는 동안 오류가 생기면 당황하지 말고 다시 해보자!
- 오류가 생기는데에는 다 이유가 있는 것을 알자
- 경로를 지정해줬다면, 설치가 말끔히 진행될 것이다
방화벽 포트 개방
hMailServer 세팅
- 패스워드가 많이 틀리게 되면 오토밴 걸리게 된다
- IP Ranges에서 삭제 해줘야 다시 사용이 가능하다
- 로그인 시도 횟수를 5로 변경해서 웬만하면 안걸리게 설정
테스트
- Linux 메일 서버 설계 시 테스트를 위해 사용했던 썬더 버드 사용!
- Windows는 리눅스와 달리 Username에 @도메인 주소를 붙여줘야 한다
실제 디렉터리
- 디렉터리 리스닝 기능 : 파일 디렉터리 목록 나열
- 단점 : 컨텐츠 디렉터리 밑에 1이 있다고 판단이 쉽게되기 때문에 위험
테스트
가상 디렉터리
- 보안상 설정하는 디렉터리
- 컨텐츠 디렉터리 밑에 있는것처럼 보이지만 실상은 그렇지 않음
- 공격자에게 혼란을 줄 수 있다
- 쉽게 생각하면 a라는 아이콘을 만든 느낌이다
테스트
- 가상 디렉터리는 아이콘 모양이 조금 다른 것을 확인
HTTP 리디렉션
- 페이지 공사 중이거나 합병으로 사이트 주소가 통합될 때 많이 사용
- 하위 폴더들에도 모두 적용
테스트
IP 주소 및 도메인 제한
테스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