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etwork

22.04.15

가로선 2022. 4. 15. 15:48

   목차   

 

1. 구성에서 최적의 경로 찾기

 - 1번 구성

    - 장단점

 - 2번 구성

    - 장단점

 - 3번 구성

    - 장단점 및 선택 이유


 

   최적의 경로 찾기   

 - 어떤 방식으로 경로를 구성하는 것이 좋을지에 대해 고민

 

   문제   

문제

 

   1번 구성   

 

fa0/23를 routed 포트로, fa0/24를 트렁크 모드로 설정하는 방식

 

   설정   

 - 지정된 포트에 맞게 vlan 부여

 

왼쪽 스위치 설정

    - fastEthernet 0/23포트는 라우티드 포트를 사용할 것이므로 no switchport 사용

        - 세팅된 ip 주소를 넣어준다

    - 각각의 vlan에 vlan 별로 세팅된 GW주소를 넣는다 

 

ip routing

    - 왼쪽 네트워크 입장에서 알지 못하는 중간 네트워크에 대한 정보를 라우팅 테이블에 저장

        - 정적 라우팅 사용

 

중간 스위치 설정

    - fastEthernet 0/23포트는 라우티드 포트를 사용할 것이므로 no switchport 사용

        - 세팅된 ip 주소를 넣어준다

    - fastEthernet 0/24포트는 오른쪽 스위치와 중간 스위치는 같은 VLAN 대역이므로, 트렁크 모드 사용

    - 각각의 vlan에 vlan 별로 세팅된 GW주소를 넣는다 

 

중간 스위치 vlan 설정

    - vlan 10, 20에 대한 정보가 중간 스위치에 없기 때문에 추가해줘서 알게 만든다

 

ip routing

    - 중간 네트워크 입장에서 알지 못하는 왼쪽 네트워크에 대한 정보를 라우팅 테이블에 저장

        - 정적 라우팅 사용

 

오른쪽 스위치 설정

    - 중간 스위치에서 트렁크 모드 설정을 진행했으므로, 오른쪽에서 굳이 할 필요가 없다

 

   1번 구성 장단점   

 - L3 스위치에는 라우팅이 기능이 존재하여 현재 구성에서는 정적 라우팅을 사용할 수 있음.

    - 소규모 네트워크 구성에 유용

 - 목적지 주소까지의 루트를 직접 설정함에 따라 관리자가 네트워크 구성을

    완벽하게 이해해야 설정이 가능하다는 단점이 있지만 그 만큼 보안성이 뛰어남

 - 현 구성에서는 큰 부담이 없지만, 네트워크가 대규모로 커지게 되는 경우 관리자의 부담 증가

 

   2번 구성   

 

fa0/23, 24 포트 둘 다 트렁크 모드 설정 후, 라우터를 통한 하위 인터페이스 모드 설정 방식(왼쪽 스위치에 라우터 설치)

 

fa0/23, 24 포트 둘 다 트렁크 모드 설정 후, 라우터를 통한 하위 인터페이스 모드 설정 방식(오른쪽 스위치에 라우터 설치)
fa0/23, 24 포트 둘 다 트렁크 모드 설정 후, 라우터를 통한 하위 인터페이스 모드 설정 방식(중간 스위치에 라우터 설치)

 

   라우터를 붙인 이유   

 

스위치에 하위 인터페이스를 적용해보려 했으나, 버전 문제로 실패

 

   설정 - 1   

 - 지정된 포트에 맞게 vlan 부여

 

왼쪽 스위치 트렁크 모드 설정

    - 라우터 사용을 위해서 라우터가 연결된 포트도 트렁크 모드 설정을 해줘야 한다

    - 하기 편하게 fa0/21 - 24 범위 잡아 설정을 진행

 

중간 스위치 트렁크 모드 설정

    - 왼쪽 스위치와의 트렁크 모드 설정은 왼쪽 스위치에서 진행했으므로, 안해도 무방하다

    - 오른쪽 스위치와의 트렁크 모드 설정을 위해 fa0/24에 트렁크 모드 설정

 

라우터 설정

    - 하위 인터페이스 모드 사용

    - encapsulation dot1q 방식을 사용하여 이름표를 붙여 여러개의

       vlan 대역이 어느 목적지로 가야 하는지 알려준다

    - 각 vlan의 gw 주소 추가

 

   설정 - 2   

 - 1과 다를 것 없이 라우터의 위치만 바꿔주는 것이므로, 오른쪽 스위치에서

    라우터의 포트에 트렁크 모드 설정을 진행해주면된다

 

   설정 - 3   

 - 설정은 크게 다른 것은 없다

 - 하지만 위 2개와는 다르게 가운데 스위치에서만 트렁크 모드 설정을 해도 통신이 가능하다

    - 왼쪽, 오른쪽 스위치에 라우터를 두는 것은 2번의 트렁크 모드 설정을 해야한다

 

   2번 구성 장단점   

 -  라우터를 가운데 스위치에 연결하게 되면 하나의 스위치에서만 트렁크 모드 설정 가능

    - 관리자의 입장에서 설정에 편의성 증가

 - 설정이 간단하기 때문에 관리자의 부담 축소

 - 현 구성에서 대규모로 네트워크가 증가하는 경우에도 관리자의 부담 증가가 적음

 - L3 스위치가 곧 라우터의 기능을 하는데 비싼 비용의 라우터를 놓을 이유가 없다

 - 라우터를 사용하기 때문에 통신 속도면에서도 스위치 보다 느리다

 

   3번 구성   

fa0/23, 24 포트 둘 다 트렁크 모드 설정 후, 중간 스위치에서 IP 라우팅을 사용하여 각각의 VLAN에 GW 주소 삽입

 

   설정   

 - 지정된 포트에 맞게 vlan 부여

 

왼쪽 스위치에서 중간 스위치와 트렁크 모드 설정

    - vlan 별로 gw주소는 넣지 않고 트렁크 모드만 설정 진행

    - 오른쪽 스위치도 마찬가지로 똑같이 진행

 

ip routing 사용을 위해 명령어 사용

 

vlan 별로 gw 주소 삽입(vlan10, vlan20)

 

vlan 별로 gw 주소 삽입(vlan30, vlan40)

 

라우팅 테이블에 입력된 것 확인

    - 스위치는 3개이지만, 마치 1개의 라우터에 설정하는 것처럼 되는 느낌이다

 

   3번 구성 선택이유   

 - 가운데 L3스위치를 라우터로 사용하게 되어 설정이 더욱 간단해지게 된다

 - 현 구성에서 대규모로 네트워크가 증가하는 경우에도 관리자의 부담 증가가 적음

 - 라우터를 놓을 필요성이 사라지게 되어 비용적인 부분에서도 큰 감소 기대

 - 통신 속도면에서도 라우터를 사용할 때보다 빠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