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etwork

22.03.10

가로선 2022. 3. 10. 19:09

 

   목차   

 

1. 패킷 트레이서 기본 토폴로지 구성

 - 라우터 설정

 - 콘솔 설정

2. 서브넷팅 문제(1, 2, 3, 4, 5)


 

   패킷 트레이서 기본 토폴로지   

 - 지난번 포스팅때처럼 서버나 PC는 간단히 IP만 설정해주면 된다

 

   라우터 설정   

 

라우터 기본 설정 첫 화면

    -  Continue ~ dialog : 대화형식으로 CLI를 진행할 것인지 묻는 것

        - 잘 사용하지 않으므로 no로 넘어가면 된다

    - Router > : user 모드(일반 사용자 모드)

        - ping 같은 약간의 확인작업만 가능하다

 

모드 변환

    - enable : 관리자모드로 변환

    - router# : privilege 모드(관리자 모드, 특권 모드)
        - show run 명령으로 라우터 설정확인

        - write로 저장

    - configure terminal : 구성창으로 넘어가기
    - router(config)# : 전역설정모드, Global Configuration Mode, 라우터 전체에 영향

 

이름 변경

    - hostname Test_R1 : 이름을 Test_R1으로 변경

 

패스워드 부여

    - enable password hello : 유저모드에서 관리자 모드 집입시 패스워드를 hello로 설정(평문)

    - enable secret hello1 : 유저모드에서 관리자 모드 진입시 패스워드를 hello1로 설정(암호문)

        - 평문보단 암호문이 더 우선순위에 있다

        - no enable secret을 사용하면 평문암호로 접근이 가능

 

암호 설정 확인

    - show run 명령을 통해 패스워드 설정된 것 확인

 

평문 암호를 전부 암호화

 

평문 암호도 암호화 된 것 확인

    - hello로 보여지던 것이 암호화되어 있는 것을 볼 수 있다

 

do 사용

    - do를 사용함으로써 관리자 모드에서만 가능한 write를 전역설정모드에서도 사용가능

        - 자동완성은 지원하지 않는다

 

no ip domain-lookup 사용

    - no ip domain-lookup : 명령어 타이핑 잘못 입력 시 도메인에서 찾는 과정 생략

        - ctrl+shift+6 : dns에서 찾을때 강제 종료(만약 도메인 찾을시)

 

라우터 IP 설정

    - interface FastEthernet 0/0 : 해당 모듈의 포트로 접속

        - 0(몇 번째 모듈) / 0(몇 번째 포트)

    - router(config-if)# : 인터페이스 하위구성모드

    - ip address 'ip 주소' '서브넷 마스크' 순으로 작성

    - no shutdown : 꺼져 있는 상태 풀기
        - 라우터는 기본적으로 받아온 패킷을 shutdown 시켜버리기 때문에
          지금까지 입력한 정보가 사라지게 되므로 필수로 적어줘야한다!

 

 

   콘솔 설정   

 - 라우터는 모니터 설정이 없으므로, 노트북이나 컴퓨터에 연결을 해야볼 수 있다

    그 때 사용하는 포트가 콘솔 포트이다

 

콘솔 설정

    - line con 0 : 콘솔설정을 위해 콘솔 포트로 접속

    - password babo : 콘솔 접속시 패스워드 설정

        - 제일 처음 설정해줘야한다

    - login : 입력을 해줘야 패스워드 입력창이 출력됨

    - exec-timeout 0 0 : 유효 세션 시간을 0분 0초로 설정하여 꺼지는 상황 방지

        - 기본값은 15분 00초로 적용되어있다

    - logging synchronous : 실행중 인터페이스가 활성화되거나 다운되더라도

                                                    타이핑 하던 명령어 잘리지 않게 하는 명령어

    - 패킷 트레이서 상에서 콘솔은 노트북으로 이용한다

        - 노트북은 RS 232 포트를 라우터는 Console 포트를 사용한다

 

 

   서브넷팅 문제   

 

   문제 및 풀이 - 1   

 

문제 및 풀이

    - 네트워크 대역이 1개이다

    - prefix 값이 24이므로 서브넷은 255.255.255.0이다

    - 네트워크가 1개 존재할 수 있으므로, 범위를 그림과 같이 지정할 수 있다

    - 다른 네트워크로 나가기 위해선 라우터의 존재가 필요하다

 

라우터 설정

    - 비밀번호는 임의로 지정

    - Fa 0/0 포트에 ip 할당 후에 no shut으로 라우터 켜기

 

Ping Test를 통해 연결이 잘 되었는지 확인

 

   문제 및 풀이 - 2   

 

문제 및 풀이

    - 네트워크 대역이 1개이다   

    - prefix 값이 25이므로 서브넷은 255.255.255.128이다

    - 네트워크가 2개 존재할 수 있으므로, 범위를 그림과 같이 지정할 수 있다

    - 해당 네트워크의 IP가 100.100.100.0으로 첫번째 네트워크

      범위안에 있으므로 그림과 같이 설정이 된다

 

라우터 설정

 

라우터 설정 전

 

라우터 설정 후

    - 라우터 연결이 잘 되어서 파란불이 들어오는 것을 볼 수 있다

 

Ping Test를 통해 연결이 잘 되었는지 확인

 

   문제 및 풀이 - 3   

 

문제 및 풀이

    - 네트워크 대역이 1개이다    

    - prefix 값이 26이므로 서브넷은 255.255.255.192이다

    - 네트워크가 4개 존재할 수 있으므로, 범위를 그림과 같이 지정할 수 있다

    - 해당 네트워크의 IP가 50.50.50.50으로 첫번째 네트워크

      범위안에 있으므로 그림과 같이 설정이 된다

 

라우터 설정

    - 라우터에서 바로 CLI환경이 들어가지는 것은 공부용으로 편리하게 만들어준 것이다

      현업에서는 콘솔을 사용하여 접속해야 볼 수 있다

 

Ping Test를 통해 연결이 잘 되었는지 확인

 

   문제 및 풀이 - 4   

 

문제 및 풀이

    - 네트워크 대역이 1개이다

    - prefix 값이 22이므로 서브넷은 255.255.252.0이다

    - 네트워크가 64개 존재할 수 있으므로, 범위를 그림과 같이 지정할 수 있다

    - 해당 네트워크의 IP가 1.1.66.0으로 17번째 네트워크

      범위안에 있으므로 그림과 같이 설정이 된다

 

do show run을 통해 라우팅 설정값 확인

    - hostname과 password가 평문까지 암호화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do show run을 통해 라우팅 설정값 확인

    - Fa 0/0 포트의 ip 설정값과 no ip domain-lookup 명령이 적용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do show run을 통해 라우팅 설정값 확인

    - console 설정값을 확인할 수 있다

 

Ping Test를 통해 연결이 잘 되었는지 확인

 

   문제 및 풀이 - 5   

 - 다음 포스팅에 좀 더 세세하게 다뤄보겠다

문제 및 풀이

    - 네트워크 대역이 3개이다

    - 3개로 나눌 수 있는 네트워크 대역은 없으므로 4개로 나누는 것을 생각할 수 있다

        - 하지만, 왼쪽 네트워크 대역의 호스트 수가 62명이므로,

          4개로 나누게 되면 쓸 수 있는 IP 대역에서 62명+라우터까지 쓰는 것이 불가능하다

    - 그래서 먼저 2개로 나누어 반을 왼쪽 네트워크 대역에 주고

      나머지 반을 2개의 네트워크 대역에서 나누는 방식을 택했다

    - 2개로 나뉘게 되면 서브넷 마스크가 255.255.255.128이 된다

    - 255.255.255.128에서 또 반을 나누기 때문에 255.255.255.192가 된다

    - 진행하게되면 그림과 같이 네트워크 설정이 된다

 

왼쪽 네트워크 대역 라우터 설정

 

오른쪽 네트워크 대역 라우터 설정

 

위쪽 네트워크 대역 라우터 설정

    - se 0/0 포트에 ip 각각 할당

    - 라우팅 테이블에 학습시킬 목적지 네트워크 주소와 경로정보를 입력

        - ip route '목적지 IP' '해당 서브넷마스크' '넘겨줄 라우터 IP'

 

show ip route

    - show ip route를 통해 라우팅 테이블을 확인할 수 있다

        - 경로 학습이 제대로 되었는지 확인이 가능

 

Ping Test를 통해 연결이 잘 되었는지 확인

'Network' 카테고리의 다른 글

22.04.11  (0) 2022.04.11
22.03.11  (0) 2022.03.11
22.03.08  (0) 2022.03.08
22.03.07  (0) 2022.03.07
22.02.13  (0) 2022.02.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