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Network 부분 간단 정리 >>
Home Network
- Router : 사무실, 가정에서 1개 회선을 사용하여 인터넷 이용할 수 있는 기기
- 서로 다른 네트워크 연결 장치
ex) ipTIME, Netis - 공유기
- Gateway : 홈 네트워크에서 외부 네트워크로 접근하기 위한 주소
- Modem : 신호 변·복조 장치
- 변조 : 디지털 신호 -> 아날로그 신호
- 복조 : 아날로그 신호 -> 디지털 신호
Internet
- IP설정, 웹 브라우저 사용
- 도메인 네임 : 웹 서버에 접속하기 위해 사용하는 문자형 주소
- DNS : 사용자가 입력한 도메인 네임 주소를 컴퓨터가 이해할 수 있는 IP로 변경하는 서비스
OSI 7 Layers
Data Encapsulation / De-Encapsulation
- Encapsulation(캡슐화) : 송신자 pc내에서 처리하는 내부 프로세스
- 송신자 입장에서 데이터를 쪼개고 포장하는 느낌
- payload(순수 데이터)를 보호하기 위해 Header, Footer에서 프로토콜들로 감싼다
- De-Encapsulation(역캡슐화) : payload를 가져오기 위해 벗기는 느낌
- PDU : 각 Layer상에서 처리되는 정보단위(패킷, 프레임, 세그먼트)
Transport Layer
- 애플리케이션 층과 네트워크 층의 중계 역할을 담당
- 데이터가 항상 완벽하게 전달이 되는 것이 아니므로 서비스에 맞게 데이터 손실 처리
- TCP : Reliablity / 안전하고 확실하게 데이터를 전달하기 위한 프로토콜
- 3-way-handshake : 발신지, 수신지 사이에 3번 왔다갔다 하는 것
- 4-way-handshake : 발신지, 수신지 사이에 4번 왔다갔다 하는 것
- UDP : Speed / 데이터를 빠르게만 전달하기 위한 프로토콜
Network Layer
- IPv4 : 8bit당 옥텟으로 부르며, 점으로 구분한다
- Subnet-mask : Net-ID와 Host-ID를 식별해주는 값
- D class는 Multicast로 많이 쓰인다
- Subnetting 목적 :
- ip 손실을 줄이고 ip를 보호하기 위해서 사용
- 네트워크를 작게 생성함으로써, 관리자가 관리를 용이하게 함
- 네트워크를 작게 생성함으로써, Broadcast Traffic을 줄여 Host의 통신 성능을 증대
- 이질적인 네트워크 기술의 혼용 및 보안구현
- Ethernet, Tokenring 등으로 구성된 혼용 네트워크에서 독립적인 네트워크를 만들 수 있다
- 문제 Point : Host 기준으로 나눌건지, Network 기준으로 나눌건지만 정하면 된다.
ex) 211.100.10.0/24 네트워크를 각 네트워크 당 60개의 Host가 사용할 수 있도록 Subneting
==> 2^n - 2 >= 60
n = 6
| |
211.100.10.|00|000000
=========================
211.100.10.|00|000000 ~ |00|111111 ==> 211.100.10.0 ~ 211.100.10.63 (1 ~ 62)
211.100.10.|01|000000 ~ |01|111111 ==> 211.100.10.64 ~ 211.100.10.127 (65 ~ 126)
211.100.10.|10|000000 ~ |10|111111 ==> 211.100.10.128 ~ 211.100.10.191 (129 ~ 190)
211.100.10.|11|000000 ~ |11|111111 ==> 211.100.10.192 ~ 211.100.10.255 (193 ~ 254)
| |
서브넷 마스크가 11111111.11111111.11111111.00000000 (255.255.255.0)에서
2bit가 늘어서 11111111.11111111.11111111.11000000 (255.255.255.192)가 됐다.
(1) 어떤 Subnet mask가 효율적인가? 255.255.255.192
(2) Subnet의 개수 4개
(3) Host의 개수 62개
- 첫IP는 그 네트워크 전체를 나타내는 것, 마지막IP는 Broadcast 주소이므로 2가 빠진다
(4) 마지막 Subnet의 Network-ID는? 211.100.10.192
(5) 첫번째 Subnet의 Broadcast 주소는? 211.100.10.63
(6) 두번째 Subnet의 사용 가능한 IP 범위는? 211.100.10.65 ~ 211.100.10.126
- VLSM / CIDR : 라우팅 테이블 간소화
- ARP Protocol : 목적지의 노드의 IP주소에 대응하는 MAC주소를 알아내는 프로토콜
- RARP Protocol : 자신의 MAC에 대응하는 IP를 결정 혹은 알아보는 프로토콜
- ICMP Protocol : ping, traceroute
- IP는 신뢰성을 보장하지 않으므로 네트워크 장애에 대처할 수가 없다
그러므로 이와 같은 오류 정보를 발견할 때 송신측에 메세지를 전달하는 기능을 한다
Data-link Layer
- LAN : 조직 내부 등 비교적 좁은 지역을 연결하기 위한 네트워크
- Bus 형
- 단일 케이블에 모든 단말 장치들이 연결된 상태
- 각 단말의 고장이 다른 부분에 영향을 주지 않는다
- 너무 많은 단말들이 연결될 경우 통신 속도가 떨어지며, 충돌 문제가 발생
- Star 형
- 중앙 장치와 직접 연결이 되어 별 모양으로 연결되어 있다
- 중앙 장치에 문제 발생시, 전체 단말 통신에 문제가 발생
- Ring 형
- 통신의 흐름은 항상 단방향으로 진행
- 토큰이라는 제어 체계에 의해 통신의 순서를 제어 당함
- 순환 구조이므로 순환이 끊어지면 전체 통신에 문제 발생(통신망 변경이 어려움)
- Tree 형
- 계층적 구조를 가지며, Loop를 발생시키지 않는 연결이다
- 최상위 root에서 문제가 발생되면, 전체 단말간 통신에 영향을 끼친다
- root에 고성능 장치를 필요로 한다
- Full-Mesh 형
- 통신 영역에서 모든 장치들이 서로간에 연결이 되어 있다
- 일부 장치에 문제가 있어도 전체 통신에는 문제가 없다
- 모든 장치들과 연결하기 위해서 많은 비용이 발생된다
- Partial-Mesh 형
- Full-Mesh 형의 장단점을 적절히 사용
- 비용적인 면에서 저렴한 형태이다
- Ethernet Protocol : LAN에서 사용하는 가장 대표적인 네트워크 방식
- 하나의 물리적인 전송 매체를 여러 단말기가 공유해야하므로 Multiple Access 프로토콜 필요
- CSMA/CD : 버스형에서 발생하는 충돌을 막기 위해 사용하는 프로토콜
- 전체 매체 신호 감지, 동시 전송, 전송 중 충돌 감지
- 충돌이 발생하면 32비트 시간 동안 재밍신호를 모든 디바이스에 전송하여,
재밍 신호를 받은 디바이스는 백오프 지연시간(임의 지연 대기시간) 동안 통신을 중단함
- EUI-48 : NIC 식별번호
Physical Layer
- Cable : 동축 케이블, Twisted-Pair, 광섬유
- xBASEy-z