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VMware를 통한 포트포워딩
2. 외부에서 RDP로 접속
VMware를 통한 포트포워딩
- 예를 들어 외부 PC에서 나의 서버로 접속을 하려할 때, NAT카드를 통해 들어오게 될 것
- 외부에서 직접 내부로는 들어올 방법이 없으므로, NAT카드에 포트포워딩을 통해 접속이
원하는 내부의 서버로 향하게 만들어줘야한다
- NAT 카드에 직접 포트포워딩을 진행
- ssh를 통해 외부에서 내부로 접속할 때, 22번 포트로 나아가도록 설정
- 하지만 원래 ssh의 포트가 22번이므로, 이 방법은 조금 위험
- 외부에서 내부로 들어올 때는 Host PC의 IP:65022로 접속이 되어야한다
- VMware의 포트포워딩을 이용하여 외부에서 내부로 접속이 가능하게 설정
- 다른 pc에서 들어오기 위해서는 해당 포트들을 방화벽에서 개방시켜주는 것은 잊지말자!
외부에서 RDP로 접속
- 포트번호 변경이후, 정책 강제적용을 통해 바로 적용시켜준다
- 많은 테스트를 위해 Windows Server 3개 전부 8281, 8282, 8283으로 포트 설정
- 상대방 Host-PC의IP:설정한 포트로 접속해서 테스트 진행
- 이것 또한 마찬가지로 외부에서의 접속을 위해 Host PC에서도
해당 포트를 개방해줘야하고, 서버에서도 개방이 필요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