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roject

22.06.30

가로선 2022. 6. 30. 22:09

 

   목차   

 

1. AWS 3-tier 구성

 - 구성도

 - VPC 생성

 - RDS 생성

 - Auto Scaling

 - Load Balancer

 - EC2 생성 확인

 - EFS(Cloud Storage)

 - Route53

 - S3를 통한 정적웹페이지 구성 및 Route53 활용

 - MySQL Client app을 통한 DBMS 접근

 - EBS Instance별 이동


 

   AWS 3-tier 구성   

 

   구성도   

 

구성도

 

   VPC 생성   

 

VPC 생성

 

서브넷 생성

 

기본 라우팅 테이블 명시적 서브넷 연결

    - 인터넷 게이트웨이 생성 후, 라우팅 테이블 수정

 

NAT 게이트웨이 생성 후, 명시적 서브넷 연결

    - 라우팅 테이블 수정도 진행

 

   RDS 생성   

 

DB 위치의 서브넷을 사용하기 위해 서브넷 그룹 생성

 

main DB와 sub DB 생성

 

해당 옵션을 통해서 Stand by DB 생성이 가능

    - 굳이 따로 DB 생성하지 않아도 알아서 생성이 되는 것을 확인(22.07.05)

    - MAIN의 DB 내용을 모두 가지고 있으며, MAIN에 오류 발생시 Stand by가 즉시 MAIN이 됨

 

   Auto Scaling   

 

시작 템플릿 생성을 위해 web, was image 생성

 

생성한 이미지를 통해 시작 템플릿 생성

 

시작 템플릿을 통해 Auto Scaling 그룹 생성

 

   Load Balancer   

 

로드 밸런서 생성을 위한 대상 그룹 지정

    - WEB, WAS 각각 대상 그룹 지정

 

대상 그룹을 통해 로드밸런서 생성

    - 각각의 매핑 위치를 잘 확인해야 한다

        - External Load Balancer의 경우 Public에 위치

        - Internal Load Balancer의 경우 WAS에 위치

 

로드 밸런서 생성 확인

 

External Load Balancer의 DNS를 통해 접속 확인

 

   EC2 생성 확인   

 

인스턴스 생성 확인

    - Bastion에 Elastic IP를 할당하여 SSH 접속

        - Private Key를 사용하여 다른 인스턴스에 접속용도

    - web, was img는 이미지를 생성하기 위해 생성

    - WAS-1, WEB-1은 Auto Scaling 그룹에 의해 생성 확인

 

web-image 생성 시 해당 스크립트를 통해 자동화 진행

 

   EFS(Cloud Storage)   

 - EFS를 통해 여러 인스턴스에 동일 데이터 배포

 

파일 시스템 생성

 

파일 시스템 연결 탭을 통해 가용영역 A의 IP 확인

 

파일 시스템 연결 탭을 통해 가용영역 C의 IP 확인

 

WAS에서 파일시스템 사용을 위해 마운트

 

동일 데이터가 배포되는지 확인하기 위해 aa.txt 생성

 

WEB에서 동일 데이터가 배포된 것을 확인

 

   Route53   

 

호스트 영역 생성 후, 네임 서버 확인

 

네임 서버를 호스팅케이알에 등록

 

레코드 파일 생성

    - 생성한 레코드를 통해 External LoadBalancer로 접속

 

원활한 접속을 위해 VPC에서 해당 옵션들을 활성화 시켜준다

 

생성한 도메인으로 접속 확인

 

   S3를 통한 정적웹페이지 구성 및 Route53 활용   

 

생성할 도메인 이름에 맞게 버킷이름 생성

    - 버킷 생성 후, index.html 객체 업로드

 

Route53에서 레코드 파일 생성

 

레코드 파일 생성 확인

 

생성한 도메인으로 접속 확인

 

   MySQL Client app을 통한 DBMS 접근   

 

NAT GW를 통해 WAS에서도 인터넷이 되므로 해당 방식으로 mysql-client 설치

 

RDS의 엔드포인트를 사용하여 DBMS 접근 확인

 

   EBS Instance별 이동   

 

사용할 볼륩 생성

    - 생성한 볼륨을 WAS-1에 연결

 

xShell에서 접속하여 연결 확인

'Project' 카테고리의 다른 글

On-Premise Infra를 AWS로 Migration(AWS On-Premise Infra 구축)  (0) 2022.07.31
On-Premise Infra를 AWS로 Migration(선정 이유, 목표, 사용 서비스)  (0) 2022.07.31
22.05.24  (0) 2022.05.24
22.05.23  (0) 2022.05.23
22.05.18  (0) 2022.05.18